공공병원15 중앙노동위원회 부당전보 판결 무시! 법도 무시하는 빛고을 의료재단 규탄한다! 불법행위 방관·방조하는 광주광역시 규탄한다! 빛고을 의료재단이 수탁 운영하는 광주시립제1요양병원에서는 올해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기존과 전혀 다른 업무인 정신병동 보호사 및 조리실 조리원으로 부서이동 시켰다. 말도 안 되는 업무이동에 광주시립제1요양·정신병원지부는 부당전보 및 부당노동행위로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하였고 2024년 9월 23일 중앙노동위원회에서는 부당전보 인정 판결을 받았다.중앙노동위원회에서는 2024년 9월 6일 심문 회의에서 빛고을의료재단에서 주장하는 적자가 공인되지 않은 정보이며 신뢰성 없는 자료를 바탕으로 해당 부서를 폐쇄하고 직원들을 부서이동 시킨 것을 문제 삼았다. 이와 함께 유관부서가 있음에도 근무형태마저 전혀 다른 부서로 이동하는 것 또한 병원 측의 유책 사유가 있다고 판결하였다.또한, 중앙노동위원회는 심문회의 이.. 2024. 10. 10. 무책임한 광주광역시! 부당폐업 후 직원들 처후 나몰라 수수방관!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직원들의 부당해고 및 부당노동행위 중노위 판정 재소 행정소송을 제기합니다.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은 2023년 12월 31일을 끝으로 갑작스럽게 강제 폐원되었습니다.2013년부터 10년간 위탁 운영한 전남대병원의 계약기간이 만료되어 재계약 기한이 도래하였고, 전대병원은 약 3억원 가령의 공익적 예산 지원을 요구하였으나 광주시가 거절하며 사실상 운영비 문제로 폐업되었습니다.폐원 이후 병원 시설은 6개월이 넘도록 방치되어 있습니다. 시설관리 비용으로만 연 3억 2천 1백만원의 예산소요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광주시가 지원을 가정한 금액 이상의 예산이 시설물 관리비용을 소요되고 있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입니다.현재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은 폐업되지 않은 채 계속 사업자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비용의 절감 및 행정의 효율화 측면으로 볼 때 수탁기관을 다시 모집하거나, 의사를 채용하여 기존 시설물을.. 2024. 8. 20.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강제 폐원! #강기정 시장과 광주시를 규탄하며 책임있는 해결을 촉구한다! #공공병원 #공공의료 #광주시 병원 운영의 어려움을 겪던 광주시립 제2요양병원이 지난해 12월 31일 결국 폐업을 하였다. 전남대병원이 수탁운영 해왔던 제2요양병원은 지난 5년간 28억원정도의 공익적 적자가 발생하면서 어려움을 겪어왔고 이 적자분에 대해 광주시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광주시는 이렇다 할 적자 해결대책은 내놓지 않은 채 일정 수준 이상의 적자를 지원하기 어렵다는 입장만을 고수하다 결국 위수탁 공모업체가 없다는 이유로 제2요양병원을 폐업에 이르게 하였다. 제2요양병원은 좋은 의료인프라와 충분한 인력기준으로 공공요양병원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왔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환자 만족도도 높아서 요양병원을 이용하고자하는 많은 환자들이 선호하는 곳이었다. 이번 제2요양병원의 폐업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아왔던 환자들에게 .. 2024. 2. 1. [기자회견문]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폐업 사태, 제2의 진주의료원 사태! 강기정 광주시장, 제2의 홍준표인가? #공공의료 #강기정규탄 ○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이 12월 31일 폐업했다. 적자를 이유로 광주시가 일방적으로 폐업한 것이다. ○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의 폐업이 말도 안 되는 이유는 첫번째,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의 적자는 예산낭비가 아니라 코로나 시기 광주시 행정명령을 그대로 따르다 생긴 적자이기 때문이다. 코로나 시기, 코로나 환자를 치료할 병원이 부족해 체육관마저 병원으로 둔갑되었던 그 때를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대부분의 코로나 환자들을 수용한 것은 민간병원이 아닌 공공병원이었다.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은 국가적 재난이었던 코로나시기, 2개월동안 코로나 환자를 입원시켰고, 이후에도 코로나 기간동안 옆 건물 빛고을전남대병원에서 증상이 호전된 환자들을 전원시켜 회복하는데 긴 시간 활용되었다. 그 기간동안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을 찾던 환자.. 2024. 1. 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