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33 병원지킨 노동자에게 정당한 보상을! 2024년 산별현장교섭승리를 위한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 #총파업 #보건의료노조 #조선대병원 아픈 사람들을 위해 일할 수 있다는 것에 보람을 느꼈습니다. 이 지역에서 알아주는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것에 큰 자부심을 가졌습니다. 돈벌이보다는 환자들의 건강권을 먼저 생각하는 병원이라는 것에 더 큰 긍지를 가졌습니다. 저마다 그렇게 청운의 부푼 꿈을 꾸며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러나, 보람과 자부심과 긍지는 날이 갈수록 퇴색해갔습니다. 한번 더 설명하기에 시간은 늘 부족했고, 한번 더 눈을 맞추기에는 밀려드는 일이 너무 많았습니다. 더 친절하고 싶었지만 마음이 먼저 지쳐버렸습니다. 하루하루 성실히 살면서 승진을 꿈꿨지만 그 길이 너무 멀었습니다. 그러지 못한 이유는 모두 우리가 부족해서라고 자책하며 살았습니다.밥 먹을 시간도, 화장실 갈 시간도 없는 현실, 심한 감정노동, 장시간 노동으로 환자의 건강과.. 2024. 8. 29. 전국 광역시도 중 공공의료원이 없는 2곳 중 1곳 광주광역시! 서남권 원자력의학원이나 복합쇼핑몰보다 감염병시대 ‘#광주의료원’ 이 우선이다! #코로나19 #공공의료 코로나19가 시작된 지 만 2년 3개월여 만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일상회복'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는 코로나19 종식 선언이 아니다. 국민의 일상과 감염병이 공존하는 시대로 진입했다는 신호이다. 광주는 감염병에 절대적으로 취약한 도시이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지방의료원이 없거나 설립계획이 승인되지 않은 곳은 광주와 울산뿐이다. 의료원이 없는 광주는 코로나19 의료재난 상황에서 코로나 경증환자부터 중증환자까지 전남대병원에 몰아넣는 식으로 대응해야 했고 중증도에 따른 적정치료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전남대병원은 부족한 코로나19 병상을 확보하고자 뇌혈관질환 중환자실, 병동 등을 축소하거나 폐쇄했고 이로 인해 급성기 위중증 환자들에게 또 다른 의료공백이 발생했으며 의료.. 2022. 4. 27. #공공의료 강화! #보건의료인력 확충! 광주시와 #전남대병원 땜질식 #코로나 대응과보건의료노동자 희생 강요 규탄 기자회견! 지금 전남대병원은 아비규환이라고 표현해도 과하지 않다. 코로나 19 확진자 폭증과 의료진의 대량 감염이 겹치면서 코로나 환자는 충분한 치료를 보장받지 못하고 급성기, 위중증환자들도 적절한 시기의 제대로 된 입원 및 검사, 수술 등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인력 쥐어짜기와 인력 갈아 넣기는 이미 임계점을 넘어섰고, 지금 당장 의료진의 과부하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인력대응체계를 시급히 구축하지 않으면 의료인력 붕괴와 의료체계 마비를 막을 수 없는 절박한 상황이다. 정부는 중증환자와 준중증환자 병상가동률이 60%대라 여유가 있다고 하는데 현재 전남대병원은 행정명령으로 내려진 코로나 중환자실, 코로나 준중증환자 병동이 연일 꽉차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코로나 19 환자가 사망하거나 일정 기간이 지나 전원 또는 퇴.. 2022. 4. 1. 코로나 개학 등교혼란, 학교에 상주 보건인력 확충하라!! #코로나19 #보건인력 #진보당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3월 새학기를 앞두고 학부모들은 대혼란에 빠졌습니다. 교육부는 학사운영 방침도 정하지 못한 채 학교장 재량으로 넘겼고, 학교장은 학부모들에게 수업 진행방식을 설문조사했습니다. 겉으로는 학부모 결정을 따르겠다는 것 같지만, 결국 교육부는 물론 학교에서 어떤 책임도 지지않고 학부모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입니다. 신속항원검사키트를 가정으로 보내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비전문가인 학부모가 신속항원검사를 하게 함으로써 학교방역을 개인과 가정에 떠넘기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자가진단 앱 설문조사도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데, 비전문가인 학부모가 검사하는 신속항원검사가 과연 신속한 대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개학 후 학교에서 확진자가 발생할 우려가.. 2022. 3. 2.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