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건의료노조13

병원지킨 노동자에게 정당한 보상을! 2024년 산별현장교섭승리를 위한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 #총파업 #보건의료노조 #조선대병원 아픈 사람들을 위해 일할 수 있다는 것에 보람을 느꼈습니다. 이 지역에서 알아주는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것에 큰 자부심을 가졌습니다. 돈벌이보다는 환자들의 건강권을 먼저 생각하는 병원이라는 것에 더 큰 긍지를 가졌습니다. 저마다 그렇게 청운의 부푼 꿈을 꾸며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러나, 보람과 자부심과 긍지는 날이 갈수록 퇴색해갔습니다. 한번 더 설명하기에 시간은 늘 부족했고, 한번 더 눈을 맞추기에는 밀려드는 일이 너무 많았습니다. 더 친절하고 싶었지만 마음이 먼저 지쳐버렸습니다. 하루하루 성실히 살면서 승진을 꿈꿨지만 그 길이 너무 멀었습니다. 그러지 못한 이유는 모두 우리가 부족해서라고 자책하며 살았습니다.밥 먹을 시간도, 화장실 갈 시간도 없는 현실, 심한 감정노동, 장시간 노동으로 환자의 건강과.. 2024. 8. 29.
무책임한 광주광역시! 부당폐업 후 직원들 처후 나몰라 수수방관!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직원들의 부당해고 및 부당노동행위 중노위 판정 재소 행정소송을 제기합니다.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은 2023년 12월 31일을 끝으로 갑작스럽게 강제 폐원되었습니다.2013년부터 10년간 위탁 운영한 전남대병원의 계약기간이 만료되어 재계약 기한이 도래하였고, 전대병원은 약 3억원 가령의 공익적 예산 지원을 요구하였으나 광주시가 거절하며 사실상 운영비 문제로 폐업되었습니다.폐원 이후 병원 시설은 6개월이 넘도록 방치되어 있습니다. 시설관리 비용으로만 연 3억 2천 1백만원의 예산소요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광주시가 지원을 가정한 금액 이상의 예산이 시설물 관리비용을 소요되고 있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입니다.현재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은 폐업되지 않은 채 계속 사업자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비용의 절감 및 행정의 효율화 측면으로 볼 때 수탁기관을 다시 모집하거나, 의사를 채용하여 기존 시설물을.. 2024. 8. 20.
견제없는 광주시 독선적 행정 폭거! #공공병원 #강제폐원 무효!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폐원 무효 행정소송을 제기합니다! #광주광역시 #공공의료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은 우리 사회의 급속한 노령화에 따른 치매, 중풍등 노인성 질환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료와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2013년 설립되었습니다. 지난 10년동안 전남대학교병원이 위탁 운영하며 매번 대기 환자가 있을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고 이로 인해 근무하는 직원들의 자존감 및 책임감 또한 높았습니다. 전 직원 정기 후원으로 의료 소외계층을 지원하였고, 코로나19 시기 코로나 전담병원을 맡는 등 공공병원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온 병원이었습니다. 하지만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은 2023년 12월말 하루 아침에 강제 폐원 되었습니다. 광주광역시는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의 계약기간이 종료되면 시에서는 동일 업무에 대해 추진할 계획이 없다며 2023년 11월 28일 공문을 통해 전남대병원에.. 2024. 6. 19.
의사 진료거부 중단과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촉구합니다! #의사파업 #진료거부 #사회적대화 #보건노동자 #기자회견 1. 환자들은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고, 생명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거부로 수술이 50% 이하로 줄어들고, 병상가동률이 50% 이하로 떨어지는 등 의료대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당장 수술을 받아야 할 환자들의 수술이 기약없이 미뤄지고, 1분 1초가 급한 응급환자들은 치료 가능한 응급실을 찾아 뺑뺑이를 돌고 있습니다. 암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가 퇴원당하고, 꾸준한 치료를 받아야 할 중증환자들이 방치되고 있습니다, 투석치료와 혈액검사조차 제 때에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갈 곳이 없는 급성기 환자들이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의사들의 진료 거부로 환자들이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고, 생명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지금 의료현장은 언제 어떤 의료사고가 터질지 모.. 2024.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