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죽음의급식실2

‘조리원 배치기준 개선 T/F’ 개선사항 전혀없이 노동자 우롱하는 광주교육청은 ‘죽음의 급식실의 가해자이다! #광주교육청 #급식노동자 #죽음의급식실 지난해 근골격계 산재 사고율 증대와 더불어 폐암 산재, 저임금 구조에 허덕이는 광주학교 급식노동자들은 결국 2022년부터 정원 미달이라는 초유의 사태마저 반복되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 노사가 ‘조리원 배치기준 개선 T/F’를 운영하기로 합의했었다. 23년 3월 기준 17개 시·도교육청의 학교급식 조리 종사자 배치기준을 살펴보면, 학생 1000명 1식을 기준으로 초등학교는 평균 7.65명, 중학교는 8.35명, 고등학교 8.71명의 조리 종사자가 배정돼 있다. 이를 조리 종사자 1인당 평균 식수인원으로 환산하면 초등학교는 130.72명, 중학교 119.76명, 고등학교 114.81명 수준이며, 타 공공기관 단체급식에 비해 2~3배의 급식을 감당해야 하는 현실을 바꿀 기회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지난 5월부터 시.. 2024. 11. 4.
교육감이 책임져라! 실질임금 인상! #차별철폐 #임금체계 쟁취! 안전하게 일할 권리 쟁취! 3·31 #총파업 대회! #학교비정규직 광주지역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늘 유례없는 신학기 총파업에 돌입하였다. 2022년 학교비정규직 집단임금교섭은 7개월의 교섭에도 불구하고 타결이 아니라 2차 총파업까지 오고 말았다. 노동조합은 불합리한 임금구조 개선을 위해 임금체계개편을 요구하였고, 조속한 타결을 위해 임금체계개선을 위한 ‘협의체’라도 구성하자는 수정안을 제시했으나 사측은 ‘임금체계개선을 위해 노력한다’는 무책임한 답변과 총 2회만 협의를 하겠다는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2회의 협의로 임금체계 개선안이 도출될 수 있단 말인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물가폭등, 실질임금 하락이 우려되는 현실을 외면하며 기본급 2% 인상안, 근속수당 동결을 제시하며 학교비정규직 차별을 방치하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임금격차 해소를 지속적으로 요구했음에도 사용.. 2023. 3. 31.